News

notice

눈여겨봐야 할 국내 바이오 소부장 기술

2023.08.13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확대되면서 생산공정에 꼭 필요한 소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몇몇 기 술은 국내 기업이 세계적인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오소부장은 바이오산업 연구개발 및 생산, 서비스 단계에 활용되는 소재, 부품, 장비를 총칭한다.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리포트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생산규모가 급격하게 증가돼 생산 공정에 필수 적인 소부장 산업도 동반성장하고 있다.

 

세포배양배지 및 시약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19년 50억3200만 달러에서 2024년 74억4700만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된다. 일회용 백의 경우 2020년 18억6900만 달러에서 2028년 65억29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바이오소부장 시장은 글로벌 기업 5개사가 전체 시장 75% 이상을 독점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은 원부자재 90%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장비 국산화율은 16%에 불과하다. 미국 머크 그룹은 약 25% 점유율로 1위 기업으로 손꼽히고, 미국 사이티바는 전략적 제휴 및 인수합병(M&A) 방식을 통한 전략으로 세계 2위 바이오 소부장 기업으로 성장했다.또 미국 다나허는 2015년 팔코퍼레이션을 인수해 세계 3위 바이오 소부장 기업으로 도약했다.

 

독일 사토리우스도 주력 제품 고품질화를 통한 기업 확장 전략으로 바이오 소부장 시장 9.9%를 점유해 4위 기업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미국 써모피셔는 기업 M&A와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로 경쟁력을 확보했고, 일본 아사히카세이는 생물공정에 사 용되는 바이러스 필터 제품군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소부장 기업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정부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지만 일부 기업들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자랑한 다.

 

2015년 설립된 엑셀세라퓨틱스는 설립 직후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 정부 기관으로부 터 지원을 받았고, 설립 3년여 만에 세계 최초로 무혈청 화학조성 배양배지 셀커(CellCor)를 개발했다.

 

배지는 △1세대 우태아 혈청 △2세대 무혈청 배지 △3세대 화학조성 배지로 구분된다. 우태아 혈청은 소 태아 혈액을 이용한 배지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문제와 균질화 및 윤리적인 문제로 한 계에 봉착했다는 분석이다.

 

무혈청 배지는 인간 혈소판 및 동물 유래 추출물을 사용한 배지로 우태아 혈청 배지 대비 안전성을 개선시켰지만, 대량 수급 문제와 원료 추적 어려움이 단점이다.

 

반면 차세대 배지로 평가받는 화학조성 배지는 재조합 단백질을 활용해, 높은 안전성과 대량수급 및 균질성을 유지할 수 있 다. 셀커는 무혈청 배지 비교 실험결과 세포가 두배로 증식하는 시간이 셀커는 20~30시간으로 훨씬 짧은 것으로 나타나 월등 한증식력을 보여줬다. 증식시간이 짧을수록 연구비용도 절감되는 만큼 큰 장점으로 꼽힌다. 현재 엑셀세라퓨틱스는 코스닥 시장 상장을 추진 중이며, 최근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마이크로디지탈(305090)은 국내 최초이자 유일하게 일회용 세포배양기 국산화에 성공했다. 국내 1호 바이오소부장 기업이 기도 한 이 회사는 일회용 세포배양기 셀빅을 2020년 론칭했다.

 

해당 제품은 세계 최초 Free Rocking 방식(Rocking + Orbital) 을 활용한 바이오리액터로 기존 경쟁제품들의 단점은 배제하고 장점을 극대화한 장비다.

 

써모피셔, 사이티바, 싸토리우스 등의 세포배양기는 믹싱 시스템이 제한적이다. 반면 셀빅은 좌우,상하, 대각선으로 움직이는 자유로운 믹싱시스템을 구현해 1000l급 대용량까지 생산이 가능하다. 또 배양기(Bag) 내에 임펠러가 없어 세포가 자라나기 에 최적의 환경을 구현했다. 가격도 글로벌 제품 대비 70% 수준으로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다만 세계적인 기술을 확보했음에도 국내 기업들은 외국산 장비 선호도가 높다. 따라서 국내 기업 제품을 활용하게 하는 정부 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정부가 나서 국산 제품 개발에 연구개발비를 지원하고, 국산 제품사용 기업 에 인센티브를 주는 직접적인 지원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출처 :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64486635706992